티스토리 뷰
목차
마라톤 대회를 주최하는 단체는 참가비, 후원사와의 계약, 판매 및 홍보 등을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는 마라톤 대회를 주최하는 단체가 이익을 얻는 주요 방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2023.08.12 - [시사 상식] - 취소선 단축키 유래 의미 용도 정리
마라톤 대회가 수익을 내는 방식
다양한 수익 파이프라인 정리
1. 참가비: 참가자들은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참가비를 지불합니다. 이 참가비는 대회를 주최하는 단체의 수익원 중 하나입니다. 대회의 규모와 인기에 따라 참가자 수와 참가비도 다양하게 결정됩니다.
2. 후원사와 계약: 대회를 주최하는 단체는 후원사와 협약을 체결하여 후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후원사는 대회의 홍보와 광고를 통해 노출되고, 대회 참가자 및 관중들에게 제품이나 브랜드를 소개할 수 있는 기회를 얻습니다. 후원사와의 협약은 대회의 성공과 규모에 따라 다양한 혜택과 수익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3. 상품 판매 및 부스 운영: 대회 현장에서 식사, 음료, 의류, 용품 등을 판매하는 부스를 운영하여 추가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4. 라이선스 판매 및 기념품: 대회 로고를 사용한 의류, 용품, 기념품 등을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5. 홍보 및 미디어 계약: 대회를 언론에 노출시키고 미디어 광고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미디어와의 계약을 통해 광고 수익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6. 등록 및 관리 비용: 대회 참가자 등록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경우, 참가자들로부터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7. 자원 기부와 협력사업: 지역 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대회를 개최하면서 지역 자원을 활용하거나, 지역 사회와의 협업을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마라톤 대회를 주최하는 단체는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여 대회 운영비 및 더 나은 대회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참가자들에게 좋은 경험을 제공하고,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지역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여부
마라톤 대회를 개최하는 경우 지역에서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역 정부나 시, 구, 군 등의 지자체에서는 지역 활성화, 관광 증진, 체육 활동 유도 등의 목적으로 마라톤 대회를 지원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대회 개최에 지원금을 받는 것보다 더 큰 지역적 혜택을 위한 협력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지원금을 받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정책이나 요구 사항을 충족시켜야 합니다. 이러한 지원은 대회 주최자와 지역 정부 간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지원금은 대회 운영 비용을 일부 덜어주는 것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 활성화와 홍보에 기여하는 목적으로 지원될 수 있습니다.
정리해 보면, 마라톤 대회 주최측은 후원사, 지방자치단체, 참가비, 상품판매 등 여러 방식으로 수익을 낼 수 있습니다.
'시사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초의 핸드폰 카메라, 샤프 J-SH04 (0) | 2023.08.25 |
---|---|
댐의 개요와 소양강댐 특징 (0) | 2023.08.19 |
존 케이지 4분 33초 및 음악성향에 대해 (1) | 2023.08.18 |
취소선 단축키 유래 의미 용도 정리 (0) | 2023.08.12 |
위로가 되는 짧은 글 말 (0) | 2023.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