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3.08.28 - [시사 상식] - pfas 불소계면 활성제 규제 검사 대체제 정리
NFC 유심 스티커 단말기에 사용법
NFC의 역사와 변천사
이 기술은 2002년에 처음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이후 2004년에는 NFC 포럼이 설립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의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그리고 2010년에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도 NFC를 지원하게 되면서 상용화가 시작되었습니다. 현재는 NFC 기술이 모바일 결제, 교통카드, 출입증, 스마트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NFC 유심과 스티커의 차이
NFC 유심은 일반적인 SIM 카드와 비슷하지만, NFC 기술을 내장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지불, 교통카드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 NFC 스티커는 NFC 기술을 내장한 작은 스티커 형태의 제품입니다. 스마트폰에 부착하여 사용하며, 주로 출입카드나 광고 등에 사용됩니다.
USIM과 SIM의 차이점
SIM과 USIM은 모두 이동통신망에서 사용되는 카드로, 전화번호와 인증 정보를 저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SIM은 2G와 3G망에서 사용되는 반면, USIM은 3G 이상의 망에서 사용됩니다. USIM은 SIM에 비해 보안성이 높아져서, 개인정보 유출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또한, SIM에 비해 더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어서, 기능이 확장된 스마트폰 등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됩니다.
또한, USIM은 SIM과 달리 UMTS(3G) 망에서 사용되는 일종의 암호화 기술인 AKA(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습니다. SIM의 풀네임은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며, 이동통신망에서 사용되는 칩 형태의 카드를 말합니다. 반면, USIM의 풀네임은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이며, UMTS(3G) 망에서 사용되는 칩 형태의 카드를 말합니다. USIM은 SIM에 비해 보안성이 높아지고, 더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어서, 기능이 확장된 스마트폰 등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됩니다.
단말기에 사용하는 방법
NFC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따라서 NFC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NFC가 내장된 스마트폰이나 기기가 필요합니다. 사용 방법은 간단합니다. NFC 기능을 켜고, 단말기를 NFC 태그가 있는 곳에 대면 자동으로 인식되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지하철 출입구에서 NFC 기능이 있는 교통카드를 인식할 경우, 스마트폰을 출입구 리더기에 대면 자동으로 인식되어 지불이 이루어집니다.
작동 방식
NFC는 RFID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13.56MHz 주파수를 사용합니다. 데이터 전송 거리는 약 10cm 이내로 매우 근거리에서 이루어집니다. 데이터 전송 방식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 하나는 "읽기 전용" 방식으로,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오는 방식입니다. 다른 하나는 "읽기/쓰기" 방식으로, 태그에 정보를 저장하거나 읽어오는 방식입니다.
NFC 안에는 뭐가 들어있을까
NFC 칩 안에는 안테나, 메모리, 프로세서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안테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수신하는 역할을 하며, 메모리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프로세서는 NFC 칩 내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이 함께 동작하여 NFC 기능을 수행합니다.
NFC는 어떻게 배터리 없이 작동되는가
NFC는 작동하는 동안 외부 전원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NFC는 주로 근거리(일반적으로 몇 센티미터 이내)에서 작동하며, 전력을 전달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낮은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NFC 칩은 주변의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고, 그 에너지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NFC는 배터리 없이도 작동할 수 있는 것입니다. 맞습니다. NFC 칩은 주변의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얻고, 그 에너지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합니다. 이때, NFC 칩과 단말기 사이에는 전자기장이 형성되며, 이 전자기장 안에서 데이터가 전송됩니다. 따라서 NFC 칩은 단말기가 전달하는 전자기장을 감지하고, 그 안에서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이를 통해 단말기는 NFC 칩 안에 있는 데이터를 읽어낼 수 있습니다.
'시사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톡사진이란 무엇이며 판매 방법과 사이트 정리 (1) | 2023.09.02 |
---|---|
pfas 불소계면 활성제 규제 검사 대체제 정리 (0) | 2023.08.28 |
블루 라이트 차단 안경 효과 및 부작용 (1) | 2023.08.25 |
최초의 핸드폰 카메라, 샤프 J-SH04 (0) | 2023.08.25 |
댐의 개요와 소양강댐 특징 (0) | 2023.08.19 |